Tags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의 첨단 기술 보호를 위해 중국에 대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은 "이 새로운 규칙이 채택되면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는 첨단 AI 칩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중국에 제공하기 전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보도했는데요. 미국 상무부는 조만간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중국 제제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미국 당국이 현행 수출 통제 규정의 중대한 허점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조치를 내놓은 것으로 보이는데요. 국가 안보 전문가들은 중국 AI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기존의 미국의 대중 수출 통제 규제를 우회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중국 기업들은 클라우드를 통해 엔비디아의 A100 그래픽처리(GPU) 등 수출 통제 대상이 되는 고급 장비를 구매하지 않고도 첨단 첨단 반도체 기반의 컴퓨팅 능력에 접근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미국 정부의 클라우드 제재로 인해 중국 기업들은 미국 기업의 첨단 기술을 사용하기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이 아마존 AWS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미국 수출 통제 조치 강화에 반도체용 희귀 금속 수출 통제로 반격에 나선 중국미 행정부의 이 같은 판단은 대 중국 기술 수출 금지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무력화 됐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실제 에밀리 와인스타인(Emily Weinstein) 미 조지타운대 안보 신기술센터(CSET) 연구원은 "중국 기업이 엔비디아 A100에 접근하고 싶다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를 통해서든 접근할 수 있고 이는 완전히 합법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에밀리 연구원은 "미국 클라우드 기업이 중국 및 기타 관련 국가의 이용자에 군사, 안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한하는 방안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의 AI 기술 발전과 군사적 사용을 경계하며 미국의 첨단 제품 및 서비스가 중국 기업으로 이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각종 조치를 취해왔습니다. 이에 중국은 일부 기업에 미국 최대 메모리칩 제조업체인 마이크론(Micron)의 제품 구매를 금지하는 등 의 보복조치를 한 바 있죠. 또 지난 3일 중국은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인 갈륨과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 통제 규제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김기림 2023.07.05 14:20 PDT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판도가 인공지능(AI)으로 흔들리고 있다. 기존 시장은 아마존이 공고하게 1위 자리를 유지하고,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이 뒤쫓는 형국이었다. 하지만 각 기업이 클라우드 컴퓨팅에 생성AI를 도입하려는 수요가 높아지면서 클라우드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판을 깨기 시작한 건 MS다. MS 클라우드는 최근 협력사 오픈에이아이의 챗GPT 흥행을 등에 업고 점유율을 늘리기 시작했다. 여기에 구글도 생성AI 챗봇 바드와 이를 탑재한 듀엣AI을 출시하며 이 뒤를 쫓고 있다. 오라클, 델 등도 엔비디아 등 협력사를 끌어들여 각각 전략을 내놨다. 이들의 공통점은 생성AI로 클라우드 서비스 장벽을 낮췄다는 점이다. 새로운 사용자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의미다. 포춘비즈니스 연구 결과에서는 향후 클라우드 시장이 3배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점쳤다. 바야흐로 클라우드 컴퓨팅 전쟁 시즌2가 시작됐다.
Sejin Kim 2023.07.03 17:00 PDT
실리콘밸리의 기업가들이 약물 사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27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 스페이스엑스(SpaceX), 트위터 등을 경영하는 일론 머스크는 케타민(ketamine)을, 구글을 창업한 사르게이 브린(Sergey Brin)은 환각버섯(Magic Mushroom)을 복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스페이스엑스와 페이스북(현 메타) 투자로 유명한 벤처캐피털(VC) 파운더스펀드(Founders Fund) 경영진은 아예 ‘사이키델릭(Psychedelics)’ 콘셉을 가져와 파티를 연 것으로 나타났죠. 사이키델릭 약물은 정신건강 장애, 우울증 등의 치료를 보조하거나 기분전환을 위한 약물을 통칭합니다. 케타민, 환각버섯(실로시빈), 리세르그산디에틸아미드(LSD) 등이 대표적이죠. 일반인에게는 치명적이거나 과다복용, 중독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알려지지만, 식품의약국(FDA)의 사용 승인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성에 관한 자료가 현저히 부족합니다. 이에 WSJ는 일부 기업과 이사회가 이들이 개인적인 시간에 약물을 사용하는 것을 넘어 기업 문화로 옮겨가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직원들에게 마약 테스트를 하지 않죠. 그러자 머스크 창업자는 해당 기사가 WSJ 온라인에 게재된 후 트위터에 “병원에서 처방해 주는 항우울제(SSRI)는 사람들을 좀비처럼 만드는 일이 잦다”면서 “케타민 복용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항변했습니다.👉 정신건강 인력 부족. 환각제 시장 커지는 중사이키델릭은 미국에서 최근 인식이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미국 전국약물사용실태조사(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에 따르면 2020년 140만명의 미국인이 처음으로 환각제를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죠. 리서치 기업 브랜드에센스(BrandEssence)에 따르면 환각제 시장의 가치는 2022년 49억달러에서 2029년 11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이에 월스트리트는 이 산업에 돈을 붓고 있습니다. 파운더스펀드(Founders Fund)는 상업용 실로시빈 개발을 연구하는 회사인 콤파스패스웨이(Compass Pathways)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공동창업자 피터 틸(Peter Thiel)은 정신건강을 위한 사이키델릭을 개발하는 아타이라이프사이언스(Atai Life Sciences)에 개인적으로 투자하고 있죠.이 배경에는 정신건강 인력의 부족도 한몫합니다. 연방보건자원서비스국(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인 약 1억5800만명이 정신건강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이는 10년 전 9500만명보다 증가한 수치죠. 회사와 경영진의 적절한 약물 사용을 지원하는 벨로시티코칭(Velocity Coaching)의 에드워드 설리번 대표는 WSJ에 5년 전에는 약물 사용 지원을 원하는 기업은 소수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고객사의 40%가 이를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수 년 전 실리콘밸리에서 사이키델릭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었지만, 지금은 크게 변했다”면서 “다만 전문가의 도움 없이 강력한 물질을 사용한 경우 일부 사람들은 자가치유가 아니라 자기파괴적인 행동에 빠지게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ejin Kim 2023.06.29 19:15 PDT
몇 년 전만 해도 많은 기업들이 물리적인 공간에 서버를 직접 설치하고, 이를 물리적으로 관리했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는 기업들이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일이 늘어났다. 물리적 전산 시스템 대신 코드형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as-Code, IaC)가 일반화되었고, 시스템을 물리적으로 관리하면서 들어가는 불편점도 줄었다. 그러나 클라우드 환경이 편리하고 무조건적인 이점을 가져오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잘못 관리했다간 오히려 기업의 비용이 증가하기도 하고, 개발 및 운영의 속도 저하나 불편을 가져오기도 한다. 기업의 데이터가 해킹되는 등 보안적인 위험도 있다. 이런 것들을 감독하고 관리하기 위한 개발 인력들의 노동력과, 이에 따른 비용이 든다는 것도 단점이다.클라우드 시스템을 최적화하면서도 기업에게 이익을 주는 시스템이 없을까? 그 답을 엔보(env0)가 제시한다.
김영아 2023.05.08 22:26 PDT
스타트업 업계와 투자 시장을 불문하고 최근 화두는 단연 인공지능(AI)이다. 오픈에이아이(OpenAI)의 챗GPT를 시작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이 일상에 퍼지면서 기술 발전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기술이 불러올 변화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높다. 그중 하나 꼽히는 건 경쟁의 장이 공평하지 않다는 점이다. AI의 대형언어모델(LLM)을 훈련하는 데는 대량의 데이터와 에너지를 투입해야 한다. AI 관련 서비스를 만들려면 돈이 많이 든다는 말이다. 이에 자본력이 대기업에 비해 부족한 스타트업에게는 AI는 언감생심이다. 이때 블록체인 기술로 AI 서비스 개발의 진입장벽을 낮추겠다는 곳이 나왔다. 바로 AI네트워크(AI Network)다. AI네트워크는 커먼컴퓨터가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 AI 클라우드 서비스다. 지난 2021년 10월 12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사로 KB인베스트먼트, 포스코, 하나벤처스, K2, 우리종합금융 등이 있고, 협력사로 네이버 D2, 구글 스타트업, 마이크로소프트(MS) 스타트업, 하나은행 원큐애자일랩(Agile Lab) 등이 있다. 오는 6월 브릿지 투자 완료를 목표하고 있다. 김민현 커먼컴퓨터 대표는 구글 검색팀에서 재직 당시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업자의 글로 블록체인에 입문했다. ‘AI를 위한 인터넷'을 만들고자 7년간 일하던 구글을 나와 2018년 5월 커먼컴퓨터를 창업했다. 기자는 4월 12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김민현 커먼컴퓨터 대표를 만났다.
Sejin Kim 2023.04.21 20:00 PDT
챗GPT가 불을 지핀 생성AI 경쟁에 빅테크 기업이 속속 참전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AI 경쟁이 검색 시장을 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등 주요 3개 클라우드 기업들은 챗GPT와 같은 '챗봇' 기술을 탑재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홍보하면서 주춤한 클라우드 부문 매출 확대 경쟁에 나서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보도했습니다. 기업별로 오픈AI를 기반으로 생성AI 시장 선두로 나선 마이크로소프트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워싱턴주 레드몬드 본사와 뉴욕 사무소에서 열린 영업 회의에서 애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AI를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있는 방법에 대해 발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글은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자사의 거대언어모델(LLM)인 '팜(PaLM)'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판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생성AI, 성장 둔화 클라우드 부문 모멘텀 될까 기업들의 주요 성장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은 최근 급격한 성장 둔화를 경험하고 있는데요. 1위 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지난 분기 20%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이 때문에 이달 초 전사적으로 9000명의 직원을 해고하겠다고 밝혔는데요. 클라우드 컴퓨팅 부분의 감원이 예상됩니다. MS 역시 클라우드 사업 둔화를 우려하고 있는데요. 고객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지출을 줄이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올해 빅3 기업의 클라우드 매출 총합은 18%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이는 지난해 성장률에 비해 거의 절반 수준입니다. 그러나 생성AI 등장이 클라우드 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토마스 쿠리안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CEO는 "AI는 큰 시장 기회가 될 것이다. 현재 우리는 그 초기 단계에 와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KPMG와 같은 빅4 회계법인은 최근 클라우드 사용 지출을 줄여왔으나, 생성AI 기술이 탑재된 애저를 사용하면서 AI 서비스 지출을 늘릴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벤처캐피털 회사 안드레센 호로위츠는 생성AI 앱이 가져오는 수익의 약 10~20%가 주요 상위 3개 클라우드 회사에 돌아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권순우 2023.03.28 16:48 PDT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지난해 4분기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매출을 기록했다. 그러나 부정적인 1분기 전망을 내놓으면서 시간 외 거래서 주가가 급락했다. 주력 수입원인 아마존웹서비스(AWS) 부문의 매출이 주춤한 것이 투자자들의 우려를 산 것으로 풀이된다. 2일(현지시간) 아마존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대비 9% 늘어난 1492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레피티니브가 예상한 시장 전망치 1454억 2000만달러, 블룸버그가 예상한 월가 애널리스트 평균 1458억달러를 웃도는 기록이다. 순이익은 2021년 4분기 143억달러(주당 1.39달러)에서 3억달러(주당 3센트)로 크게 감소했다. 전문가들이 예상한 17센트에도 크게 미치지 못했다. 아마존이 내놓은 1분기 가이던스도 시장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다. 아마존은 올해 1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1210억~1260억달러로 제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8%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이는 레피니티브가 전망한 1251억달러에 다소 못 미친다. 투자자들은 즉각 반응했다. 아마존은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7.38% 급등한 112.91에 거래를 마감했다. 그러나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거래서 5% 가까이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권순우 2023.02.02 18:24 PDT
마이크로소프트(MS) 본격적으로 '생성형 AI'를 상용화할 뜻을 내비치면서 시장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사티아 나델라 MS CEO는 최근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례행사의 월스트리트저널 패널에 참석해 오픈AI사가 개발한 인공지능 챗봇 챗 GPT와 같은 생성형 AI 도구를 MS의 모든 제품에 통합, 적용하고 다른 기업이 이를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등 상용화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습니다. 오픈AI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투자한 인공지능 개발 회사인데요. 최근 AI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았던 챗 GPT와 생성형 이미지 창작 도구인 달리 2, 그리고 코드자성 도구인 '코덱스' 등을 개발했습니다. MS는 이 회사의 초기 투자자인데요. 최근 100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픈AI 사가 개발한 인공지능 AI를 차세대 주력 사업으로 잡은 것으로 보입니다. 나델라 CEO는 "MS의 모든 제품에는 완전한 포맷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AI 기능이 포함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AI vs 인간 현실로... MS는 이미 하루 전인 지난 16일 블로그를 통해 자사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애저를 통해 오픈AI 기술을 기업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애저 오픈AI 서비스를 일반에 공개해 보다 많은 기업들이 해당 AI 서비스로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현재 MS의 애저 오픈AI 서비스는 챗 GPT는 활용할 수 없지만 GPT3.5, 달리 2, 코덱스 등에는 접근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WSJ은 조만간 챗 GPT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생성형 AI 상용화에 대한 우려도 나옵니다. 유해 콘텐츠에 대한 우려와 AI와 실제 사람이 한 업무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문제 등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생성형 AI를 이용한 이미지의 저작권 이슈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아갈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는데요. 나델라 CEO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도구"라며 "저소득 일자리의 임금을 증가시키면서 진정한 경제성장을 지원하는 도구가 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내다봤습니다. 사무직에도 업무와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요. 조만간 GPT에 의존해 기사를 작성하는 날이 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AI와 인류가 대결하는 영화에서나 나올법한 일들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데요. 발전하는 기술을 잘 통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인 변화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권순우 2023.01.17 19:00 PDT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인공지능 챗봇 '챗 GPT' 개발사인 오픈AI에 100억달러(약 12조4천억원)를 베팅한다. 10일(현지시간) CNBC, 블룸버그통신 등은 뉴스사이트 세마포를 인용, 마이크로소프트가 290억달러로 평가된 오픈AI 자금조달 라운드의 일환으로 10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실리콘밸리 사업가 샘 알트만이 설립한 오픈AI는 지난해 11월 대화형 챗봇 AI '챗 GPT'를 공개했다. 챗 GPT가 공개되자마자 시범 서비스임에도 5일 만에 100만 사용자를 돌파하는 등 돌풍을 일으켰다. 챗 GPT는 오픈AI가 출시한 고급 오픈 소스 자연어 처리(NLP) 모델로, 인간과 비슷한 대화를 생성하기 위해 수백만 개의 웹 페이지로 구성된 데이터 세트에서 사전 훈련된 대량 생성 변환기(transformer)를 사용한다. 사용자와 대화하며 질문에 답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챗 GPT는 고등학교 수준의 에세이나 요리 레시피 등 여러 방면에서 높은 수준의 답변을 제공하면서 주목받았다. 보도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투자가 완료되면 향후 투자금을 회수할 때까지 오픈AI의 이익 75%를 얻게 된다. 이후 지분 49%를 인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CNBC는 "거래가 완료되었는지는 확실치 않다"며 "최근 수 주간 잠재적 투자자들에게 보낸 문서에 따르면 2022년 말까지 거래가 완료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는 관련 논평을 하지 않고 있다.
권순우 2023.01.10 17:20 PDT
아담 셀립스키(Adam Selipsky) 아마존웹서비스(AWS) 최고경영자(CEO)는 29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AWS 리인벤트(re:Invent) 2022’ 기조연설에서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 비용을 30% 이상 절감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적용 범위 확장 및 축소가 자유로운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 때문에 이를 도입한 포춘 500대 기업들이 사업 운영에 꼭 필요한 분야(mission critical)에서 비용을 40% 줄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셀립스키 CEO는 “허리띠를 졸라매고 싶다면 클라우드가 적합하다”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면 (컴퓨팅 자원) 사용량이 너무 많거나 적다고 걱정할 필요가 없다. 필요에 따라 쉽게 확장 및 축소할 수 있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고 했다. 비싼 장비를 사들여 자체 데이터 센터 시설을 구축할 경우 사용량이 급격히 줄거나 늘었을 때 제대로 대응하기 어렵지만, 클라우드는 유연하면서도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셀립스키 CEO는 “제약업체 ‘길리어드(Gilead)’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향후 5년간 600만 달러를 절약할 것으로 추정된다. 농기계 제조사 ‘애그코(AGCO)’는 클라우드로 비용을 78% 줄이면서도 데이터 검색 속도는 오히려 높였다”고 강조했다.
박원익 2022.11.29 22:53 PDT
피터 디샌티스 아마존웹서비스(AWS) 유틸리티 컴퓨팅 부사장은 28일(현지시각)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AWS 리인벤트(re:Invent) 2022’ 기조연설에서 “그래비톤3E의 성능은 그래비티3 대비 35% 우수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자체 개발한 고성능 컴퓨팅용 칩 그래비톤3E를 사용하면 ‘단백질 시뮬레이션 분자 역학 소프트웨어(GROMACS)’, ‘옵션 가격 결정 모델’에서 각각 12%, 30% 높은 연산 성능을 낸다는 설명이다.디샌티스 부사장은 “가격과 성능의 최적화를 이룬 고성능칩 그래비톤3 역시 비교 제품인 인텔 칩에 비해 최대 60% 나은 성능을 낸다”며 “그러나 우리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더 잘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자문했다”고 강조했다.
박원익 2022.11.28 23:51 PDT